
심장의 활동은 심장 근육 세포에 전기 자극이 가해지면 심장의 수축과 이완이 반복되면서 이루어집니다. 심장에는 이러한 전기 자극을 만들어내는 자극 생성 조직과 이를 심근세포에 전달해주는 자극 전도 조직이 있다. 그러나 심장에서 전기 자극이 잘 만들어지지 못하거나 자극의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규칙적인 수축이 계속되지 못하여 심장 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지거나 늦어지거나 혹은 불규칙해지는데 이를 부정맥이라고 합니다. 정상적인 사람의 경우 본인의 심장박동을 느끼지 못하지만 부정맥 환자들은 맥박수가 건너뛰거나 너무 빨라지면 자신의 심장 박동을 느끼게 되고 가슴 두근거림을 호소하게 됩니다. 부정맥의 증상은 부정맥의 종류와 환자의 개인 상태에 따라 작게는 두근거림, 흉통에서부터 크게는 실신, 돌연사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부정맥이 발생하면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이 두근거림이나 덜컹거림으로 나타나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고 심장의 능력이 저하되어 혈액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호흡곤란, 현기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심실 무수축, 심실빈맥, 심실세동과 같은 악성 부정맥이 발생하면 순간적으로 심장 기능이 완전히 마비되어 심장마비로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부정맥은 전기 자극에 이상이 생기면서 발생하는데 선천적인 심장의 이상, 담배와 술 그리고 카페인, 심근경색, 고혈압,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은 전기 자극의 이상을 유발하는 요인입니다. 부정맥 진단은 심전도 측정으로 하며, 문제가 보이면 심장초음파 검사 등을 실시합니다. 다만 간헐적 부정맥의 경우 부정맥이 나타나는 그 즉시 측정하지 않으면 찾아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상이 있는 것 같으면 가까운 내과를 방문하여 심전도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부정맥의 종류는 세부적으로는 여러가지로 나눌 수 있지만 크게 빈맥과 서맥으로 나뉩니다. 빈맥은 놀라거나 운동 또는 힘든 일이 선행되지 않았음에도 맥박수가 분당 100회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빈맥의 증상은 종류에 따라 다양하지만 심실빈맥은 급사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빈맥 중 상심실성 빈맥은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이라는 시술로 완치가 가능합니다. 반면에 심실빈맥의 경우에는 전극도자 절제술로도 치료가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삽입형 제세동기 시술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또 다른 부정맥인 서맥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심박수가 분당 60회 미만인 경우를 말합니다. 서맥의 경우 어지러움, 무력감, 실신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한 경우 경련이나 심정지가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서맥은 증상이 없는 경우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지만 증상이 있는 서맥의 경우 서맥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거하여 심박수를 정상으로 되돌려 놓아야 합니다. 다만 전기 자극의 이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인공 심박동기를 삽입하여 치료하여야 합니다. 부정맥은 이외에도 항부정맥제 복용, 전기적 심율동전환, 수술 등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정맥을 예방하는 방법은 따로 없고 부정맥에 좋은 음식도 없습니다. 다만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는 카페인, 술, 스트레스, 무리한 운동 등을 피하고 온몸의 근육을 풀어줄 수 있는 운동이나 유산소 운동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