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토피성 피부염,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

by 하칸다 2022. 12. 8.
반응형

 

아토피
아토피 원인
아토피 증상
아토피 예방
아토피 치료
아토피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은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어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피부 습진 질환으로 심한 가려움증과 습진, 피부 건조증을 동반합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천식, 알레르기 비염, 만성 두드러기와 함께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 중 하나입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나이가 들면서 점점 호전되지만, 소아, 청소년, 성인에 이르기까지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유아기에는 몸 전체 혹은 얼굴과 팔다리의 펼쳐진 쪽 부분에서 시작되지만 성장하면서 신체가 굽혀지는 부위에 습진의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유병률이 인구의 20%라는 보고가 있습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증상도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원인을 어느 한 가지로만 단정할 수 없고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소인, 면역학적 이상 및 피부 보호막의 이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토피 환자의 70% 이상은 가족력이 있으며 부모 중 한쪽이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으면 자녀의 50%에게 아토피성 피부염이 나타납니다. 또한 환경적인 요인으로 매연 등 환경 공해, 간편식 섭취 증가, 카펫, 침대, 소파의 사용 증가, 실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집먼지 진드기의 증가 등이 아토피성 피부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심한 가려움증 및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대한 민감한 반응 그리고 피부건조증입니다. 가려움증은 낮 동안에는 드문드문 가렵다가 대게 저녁에 심해집니다. 이때 피부를 긁게 되면서 피부 습진이 발생하고 이러한 피부 습진이 더 심한 가려움을 가져오는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이 나타나는 부위와 반응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유아기에는 주로 머리, 얼굴, 몸통, 팔다리가 펴지는 부위에 진물과 기름진 딱지를 형성합니다. 소아기에는 신체가 접히는 부위에 건조한 형태의 습진이 나타납니다. 성인기에는 피부 건조, 손발 유두 습진, 태선화 등이 나타납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환자가 가지고 있는 증상을 토대로 진단하는 병입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진단하는 주 진단 기준과 보조 진단 기준이 있으며, 주 진단 기준 중 적어도 2개 이상, 보조 진단 기준 중 4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진단합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주 진단 기준으로는 가려움증,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피부염의 모양 및 부위, 아토피 질환의 가족력, 만성 및 재발 경과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보조 진단 기준으로는 피부건조증, 잦은 피부 감염, 눈 주위 색소 침착, 구순염, 안면 창백, 얼굴 피부염, 목주름, 백색 피부 묘기증, 식품, 환경이나 감정 요인에 의한 악화, 혈청 면역글로불린 E의 증가, 피부 시험 양성 소견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염을 악화시키는 원인을 찾기 위해 혈액 검사, 피부 단자 검사, 음식물 알레르기 검사 등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는 증상의 발현과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 원인과 유발 인자를 제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또한 피부 청결을 유지하고 2차 피부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 다양한 약물을 적절하게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가 효과가 없거나 아토피성 피부염이 심한 환자는 환자의 증상을 고려하여 자외선 치료와 같은 광선 치료, 면역 억제제 투여 등의 전문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악화요인을 잘 파악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예방이 중요합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악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나친 목욕, 과다한 비누 사용, 건조한 환경을 피해야 합니다. 또한 세탁 후 세제가 남아있지 않도록 잘 헹구는 것이 중요하며 거친 화학섬유로 된 제품들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집먼지 진드기를 제거하고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음식들을 멀리하여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